
현재 발생한 모든 현상에 원인이 있다.
너무 당연한 말이다. 문제는 그 원인을 다른 곳에서 찾는 것이다.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비가 내리면 땅이 젖고, 날씨가 더우면 체온이 올라가는 것처럼 당연한 일도 있지만,
어디 세상 모든 일이 이렇게 명확하기만 한가!
학습을 잘하는 학생의 요인은 단순히 생각해도 유전이 가장 클 것이고, 그 뒤로도 환경과 국가 정책까지
너무 많은 변수들이 작용한다. 한 마디로 그 원인을 단순화시키기 힘들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잘못된 결과의 원인을 찾은 일을 게을리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왜냐면, 원인을 분석하지 않고 지나간다면, 같은 일은 계속 반복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말은 불행이 더 큰 불행을 가지고 올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기도 하다.
심리학에서 귀인이론이 있다.
말 그대로 어떤 행동을 하는 이유, 즉 그 행동을 하는 원인을 파악함으로
그 행동을 교정 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하지만 문제는 잘못된 귀인을 할 경우이다.
귀인을 정확히 하지 않으면 오히려 잘못된 행동이 강화될 수 있다.
생각해 보면, 우리도 이런 잘못된 귀인을 수시로 하고 있다. 장사꾼이 장사가 안 되는 이유를
자리 탓으로 돌릴 수 있고, 경기 탓으로 돌릴 수도 있다. 그리고 이는 사실 일 수 있다.
하지만, 만약 문제가 여기 있지 않고 본인의 불친절이나 구비해 둔 상품이 손님들의 니즈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면. 이 장사꾼의 인생은 훨씬 더 비참해질 것이다.
왜냐면, 이 장사꾼은 잘못된 귀인을 함으로 남에게 거액의 돈을 차입해 좀 더 좋은 자리로 장소를 옮길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손님은 오지 않는다. 문제가 본인의 불친절인데 그 걸 장소 탓으로 돌렸기 때문이다.
학습에서도 잘 못된 귀인을 많이 한다.
가장 흔한 귀인이 학원 탓이다. 이상 할 정도로 하교 탓은 하지 않는다.
이건 학교가 잘해서가 아니라, 학교에 별 기대를 하고 있지 않는 것 같다.
아무튼 부모들과 아이들이 학원이 잘 못 가르치거나, 내 아이를 잘 이끌지 못한다고 귀인 한다.
이런 현상은 학생이 어릴수록 심하다. 이 시기만 해도 부모들이 자녀를 믿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런 믿음이 실질적으로는 전혀 근거 없는 분석이라는 것이다.
저학년이던, 고학년이던 자녀가 공부를 하지 않는다면 그냥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걸 단순하게 분석하지 않고, 학원에서 학습지로, 다시 학습지에서 학원으로 반복하다가
결국 과외를 시작해봐야 아무 소용없다.
문제는 그냥 내 자녀의 복습이 부족한 것이다. 이런 잘못된 귀인의 또 다른 문제가 있다.
어쩌면 이것이 더 큰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부모들이 잘못된 귀인을 하면서 하는 말들이 아이들에게
선생님과 학습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을 자연스럽게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학습지는 어떠어떠한 문제가 많아’
‘원래 시키지 말걸 그랬어.’ ‘학원은 어떤 문제가 있어’, ‘다른 학원으로 가야지’ 이런 얘기들이
자연스레 ‘선생님이 잘 못 한 거지 내 잘못은 없다’는 근자감을 갖게 만든다.
또한 동시에 ‘공부의 핵심을 자신이 아닌, 좋은 선생님에 포커싱을 하게 만든다.
그러다 보면 나중에는 아이가 먼저 좀 더 비싼 학원, 좀 더 비싼 과외를 요구한다.
혹은 조금만 힘들면 다른 학원을 찾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반복하는 이유가 어렸을 때 잘못된 귀인에 있다.
만약 학습 부진이유를 유전과 가정환경, 그리고 아이의 복습량 부족으로 잡는다면,
분명 학원을 여럿 옮길 이유가 없을 것이다. 어쩌면 학교 공부로 충분할 수도 있다.
교과서 복습도 하지 않는 아이를 과외를 시키면 무엇 할 것이며, 학원을 보내야 어차피 하지 않는
복습량만 늘어나는 결과가 된다. 이런 지키지도 못 할 복습량은 결국 학습 포기를 앞당긴다.
어차피 하지 못 할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일에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가 아이들을 가르치다 화를 냈다 가정해 보자.
그 화를 낸 이유를 아이의 학습 부족에서 찾으면 잘 못 귀인 한 것이다.
화내고 있는 자신의 부모 됨됨이를 잘못의 원인으로 발견한다면 이후 완전히 다른 세상으로 바뀔 것이다.
왜냐면, 문제가 부모이기 때문에 부모가 ‘부모 교육’ 먼저 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도 아주 성실하게 말이다.
'초등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한 사람에게 이것부터 배워야한다. (0) | 2023.02.25 |
---|---|
초등 독서 교육 방법 (0) | 2023.02.14 |
학습습관 처음에 해줘 버릇하면 영원히 당신이 해야 한다. (0) | 2023.02.08 |
하면 안 되는 질문들 (0) | 2023.02.06 |
최대로 간단한 시스템으로 학습해야 한다. (0) | 2023.02.05 |